[보건직공무원] 공중보건 요점정리
1. 건강의 개요
(1) 건강의 정의
① WHO의 건강의 정의
1964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보건헌장에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뜻하는 것만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2) 건강의 수준
① 종합건강지표 : 비례사망지수, 평균수명, 보통 사망률이 사용된다.
② 특수건강지표 : 영아사망률, 전염병 사망률이 사용된다.
③ 보건봉사활동지표 : 의료봉사자수 및 병상수의 등의 평가지표가 이용된다.
④ 보건,의료제도나 정책, 자연환경과 관련된 보건수준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간접적 평가지표 : 총부양비, 노년인구 구성비, 실업률, 단백질 섭취량, 인구밀도, 수도이용률, 종말처리시설 이용 인구수 등의 보건관련 지표도 이용된다.
【 보건 수준 평가의 지표 】
․ 사망지표
평균 수명 : 생명표상에서 생후 1년 미만 (0세) 아이의 기대여명
조사망율 : 인구 1,000명당 1년간 사망자수
영아사망율 : 출생아 1,000명당 1년간 생후 1년 미만의 영아의 사망
* 영아사망률, 비례사망지수, 평균수명은 국가간이나 지역사회간의 보건수준을 비교하는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다.
2. 질병
(1) 질병의 개요
① 질병발생의 요인
㉠ 병인 : 질병발생의 1차 요인으로 작용한다.
병인에는 생물병원체, 유전적 소인, 영양소, 외인성 화학물질, 내인성 화학물질, 물리적용이 있다.
㉡ 숙주 : 숙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연령, 성별, 병에 대한 저항력, 영양상태, 유전적 요인, 생활습관 등이 있다.
㉢ 환경 : 숙주와 병인간의 관계에서 지렛대 역할을 한다.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적, 생물학적, 사회적, 경제적인 것들을 포함한다.
(2) 질병관
① 마술적 질병관
고대의 사람들은 질별은 악령이 사람의 몸이나 영혼에 침입하거나 마술이나 저주 등에 의해 발생한다고 여겼다.
② 도덕적 질병관
㉠ 고대 이집트 : 병의 발생은 죄에 대한 벌로 생각. 제사를 지내거나 제물을 바쳐서 신의 노여움을 풀고자 했다.
㉡ 고대 인도, 중국 : 병은 인간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대서 발생하는 것이라 생각하였다. 정신과 신체의 조화 개념이다.
③ 4체액설
히포크라테스는 혈액즙, 점액즙, 황담즙, 흑담즙의 4체액이 조화가 깨질 때 질병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④ 장기설
어떤 병인물질이 대기를, 따라 전파되어 방생하는 것으로 중세 18세기까지 유행하였다. 인플루엔자나 말라리아의 병명의 이론적 배경이 되었다. 에드윈 채드위크, 사우스우드 스미스 등이 계승하였다.
⑤ 접촉전염설
19세기 존 스노우와 월리엄은 전염병이 유행하면서 간호하던 사람들에게 질병이 발생하자, 질병을 가진 환자와 접촉하는 사람들에게 질병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⑥ 세균설
17세기에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질병발생에 미생물의 관련성이 제기되었고 루이 파스퇴르, 로버트 코흐 등에 의해 식물이나 인간의 질병이 미생물에 의한 감염에 의한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혀 세균설을 확립하였다.
(3) 질병의 자연사
Leavell과 Clark은 질병의 자연사를 5단계로 나누었다.
① Ⅰ단계(비병원성기) : 병에 걸리지 않은 시기
② Ⅱ단계(초기병원성기) : 질병에 걸리게 되는 초기의 시기
③ Ⅲ단계(불현성 감염기) : 이미 감염은 되었으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시기
④ Ⅳ단계(발현성 질환기) : 감염되어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 보통 질병이 걸리면 이 때 알게 된다.
⑤ Ⅴ단계(회복기) : 질병에 이환되어 회복되거나 불구 또는 사망에 이르게 되는 시기
(4) 질병의 예방
① 1차예방
- 병원전기의 질병 과정을 차단하는 것
- 예방방법 : 예방 접종, 화학적 예방 요법, 생활리듬조설, 스트레스 해소, 식생활과 영양 개선 등
② 2차예방
- 질병의 조기발견과 병원기의 초기에 치료를 통하여 병원 진행을 차단하는 것
- 예방방법 : 집단 건강 검진을 통해 질병의 조기 발견 ․ 치료
③ 3차예방
- 질병에 의한 후유증이나 불구를 최소화하고 재발방지 및 재활을 도모하는 것
- 예방방법 : 생활 복귀훈련, 직업훈련, 기술습득훈련, 개인상담 등의 재활요법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