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급공무원/10급기능직공무원시험](윤리) 동양윤리
유교 사상의 전개
1. 춘추 전국 시대의 유교
(1) 공자의 사상
★ 사회 혼란의 원인
․ 춘추시대 : 사회의 극도 혼란 지속
⇀ 도덕적 타락
★ 치 유 책
․ 인(仁) : 차별적 사랑
⇀ 서(恕), 효제충신(孝悌忠信)
․ 예(禮) : 극기복례(克己復禮)
⇀ 군자(도덕적 완성)
★ 정 치
․ 정명(正名) : 신분, 역할에 충실함
․ 덕치(德治) : 도덕과 예의로 교화
⇀ 수기치인(修己治人)
⇀ 대동사회(분배의 형평성 중시)
・‘사랑(仁)은 맹목적이고 무조건적인 사랑이 아니라, 선행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사람이 행하는 참된 사랑이다’
・‘통치자는 재화의 적음보다 분배가 균등하지 못한 점을 걱정해야 한다는 경제적인 분배의 형평성도 강조하였다.’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며, 아버지는 아버지다워야 하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한다.’
(2) 맹자의 사상
★ 인간의 본성
․ 성선설(4단과 4덕)
․ 측은지심(인), 수오지심(의), 사양지심(예), 시비지심(지)
★ 치 유 책
의(義) : 옳고 그름을 명확히 하는 사회 정의) +인(仁)
⇀ 호연지기(굳고 곧은 마음)
⇀ 대장부(이상적 인간)
★ 정 치
․ 민본주의적 혁명 사상
⇀ 백성>국가>군주
․ 왕도 정치 : 인의(仁義)의 덕으로 다스리는 정치
“사람은 모두 남에게 차마 어찌하지 못하는 착한 마음씨인 양심(不忍人之心)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남을 사랑하여 측은히 여기는 마음(惻隱之心),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羞惡之心), 서로 양보하고 공경하는 마음(辭讓之心),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마음(是非之心) 등 네 가지 마음으로 알 수 있는데, 이것이 사단(四端)이다.”
(3) 순자의 사상
★ 정 치
․성악설(이기적 욕구)
⇀ 후천적
․인위적 노력
★ 인간의 본성
․예(禮) : 외적인 행동을 규제하는 규범
․화성기위(化性起僞) : 악한 본성 변화(성인)
★ 치 유 책
예치(禮治) : 능력에 따른 분배
・‘사람은 짐승과 마찬가지로 배고프면 먹으려 하고, 추우면 따뜻한 곳을 찾으며, 피로하면 쉬고자 하고, 이익을 좋아하며 손해를 싫어한다.’
・‘사람에게 예가 없으면 생존할 수가 없고, 도모하는 일에 예가 없으면 성공할 수가 없으며, 국가에 예가 없으면 사회의 안정을 이룩할 수 없다.’
<용어해설>
공자의 서(恕)
내 마음을 미루어 남을 헤아리는 마음이다. 용서의 원리로 역지사지의 태도라고 볼 수 있다.
극기복례(克己復禮)
자신의 사적인 욕망(사욕)을 극복하여 진전한 예를 회복함
맹자의 호연지기
호연지기란, 지극히 크고 굳세며 곧은 도덕적 기개를 말한다. 이러한 호연지기는 도를 깨닫고 오랫동안 의를 쌓은 후에 자연히 우러나오는 기운이다. 맹자는 호연지기를 갖춘 사람을 대장부(大丈夫) 또는 대인(大人)이라고 하였다.
민본주의적 혁명 사상
‘ 백성이 가장 귀하고, 국가가 그 다음이며, 군주는 가벼운 존재로 보고, 군주가 군주답지 못하면 군주도 바꾸어야 한다’는 맹자의 주장이다.
화성기위(化性起僞)
순자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며, 인위(人爲)는 선한 것으로 보았다. 인위란 사고 작용을 통해서 선택되고 조정된 것, 학습으로 얻어진 모든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인위를 통해서 인간의 본성을 바꿀 수 있으며, 선함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화성기위이다.
2. 한나라의 유학
★ 발생 배경
진시황 때 분서갱유(유학 탄압)
★ 경학과 훈고학
경서의 복원과 주석을 담
3. 송과 명의 유교
★ 성리학(주자학, 신유학, 성학)
이기론
․ 이(理) : 사물의 이치(불변)
․ 기(氣) : 사물의 형상(가변)
⇀ 격물치지(格物致知, 사물의 이치 탐구)
심성론
․ 성즉리설(性卽理說)
수양론
․ 존천리거인욕, 존양성찰
⇀ 선지후행
․ 거경궁리(居敬窮理) : 마음의 경건성을 유지하면서 사물의 이치를 깊이 연구함
★ 양명학(명)
이기론
․양지 : 본래부터 타고난 참된 앎
⇀ 격물치지, 즉 이론적 학습이 필요 없음
심성론
․ 심즉리설(心卽理說)
수양론
․지행합일(知行合一)
․치양지설(致良知說) : 사욕을 버리고 양지를 적극적으로 발휘함
★ 성리학
․ 성인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을 포함한 세계의 참모습에 대하여 밝게 알아야 하며(格物致知), 양심을 보존하고 본성을 함양하면서 나쁜 마음이 스며들지 않도록 잘 살펴서 단호하게 물리쳐야 한다(存養省察)‘
・성인이 되는 방법으로서 경(敬)의 태도로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할 것(存天理 去人欲)”을 강조하였다.
・개인의 지나친 욕망을 조절하여 중용(中庸)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간의 기질을 변화시켜 본래의 모습을 회복해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완성된 인격을 바탕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면서 도덕적인 사회를 이룩하려 하였다.
★ 양명학
․사람에게는 누구나 윤리적으로 착한 사람이 될 수 있는 순수한 양심(良心)이 있며, 그러므로 이론적인 학습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인간의 본질이 구현될 수 있다
・‘앎은 행함의 시작이요, 행함은 앎의 완성이다’
・사욕을 극복하고 인간의 순수한 본래성 만을 유지한다면 누구나 지선(至善)의 경지에 이룰 수 있다
・그는 정원에 있는 대나무를 놓고, 대나무의 이치를 찾기 위하여 격물 치지(格物致知)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병만 얻었다. 이 체험을 통해 그는 “이치를 사물에서 추구한 것이 잘못 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마음 밖에 어떤 사물도 없고, 마음밖에 어떤 이치도 없다.”는 유명한 명제를 제시하였다
․‘심(心)은 이(理)이다’, 이는 심과 분리되지 않는다. 즉 마음 밖에 따로 이치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에 우주 만물의 이치가 내재해 있다.
4. 청의 고증학과 실학
★ 등장 배경
지나치게 인간의 도덕성만 강조하는 성리학과 양명학의 비현실성 비판
★ 특징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태도로 학문 연구
⇀ 실시구시(實事求是)를 통한 경세치용(經世致用)
5. 춘추 전국 시대 제자 백가
★ 고자
․ ‘식욕과 성욕이 인간 본성의 전부이다.’
․ 성무선악설(性無善惡說)
★ 묵자(묵가)
․ 겸애설 : 무차별적 사랑
․ 사치를 삼가고 소비를 줄일 것
★ 한비자(법가)
․ 순자의 성악설에 영향
․ 법(法), 술(術, 술수)
⇀ 형법에 의한 통치 강조
<용어해설>
당(唐)나라의 유학
일반 백성들의 정신 생활에서는 노장 사상과 불교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유교는 관학(官學)으로만 머물렀고, 형식적인 예교(禮敎)로서의 역할만 담당하였다.
성리학의 명칭
성리학은 그 명칭이 다양하다. 주자가 선진 유학을 새롭게 체계화해서 주자학, 신유학이라 하고 인격적으로 완성된 군자나 성인이 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성학이라고도 한다.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慾)
타고난 본성인 천리를 지키고 인간의 욕망을 물리쳐야 함
존양 성찰(存養省察)
양심을 보존하고 나쁜 마음이 스며들지 않도록 단호하게 물리침
경세치용(經世致用)
민생의 안정과 사회의 발전 등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을 도모하는 청나라의 유학 경향을 말한다.
고자의 성무선악설
‘본성은 갇힌 채 소용돌이치는 물과 같아 동쪽으로 트면 동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트면 서쪽으로 흐른다. 사람의 본성에 선함과 선하지 않음의 구분이 없는 것은 물에 동쪽과 서쪽의 구분이 없는 것과 같다.’
묵가의 겸애설
자기를 사랑하듯이 남을 사랑하고, 자기 집․자기 나라를 사랑하듯이 다른 나라를 사랑하면, 천하가 태평하고 백성이 번영한다.
불교 사상의 전개
1. 불교 사상의 성립
(1) 연기설
★ 연기설(緣起說)
․우리들은 우주 만물이나 타인들과의 철저한 인과관계 속에서 상호 의존됨
․‘이것이 생(生)하므로 저것이 생(生)하고 이것이 멸(滅)하므로 저것이 멸(滅)한다.’
★ 윤리적 영향
․자타불이(自他不二)
⇀ 모든 생명에 대한 경외심(敬畏心)
․자비(慈悲) : 연기성의 자각으로 자연적으로 우러나오는 실천 윤리
(2) 사성제설
★ 고(苦)성제
현실 세계의 결과
인생 그 자체가 고통(生, 老, 病, 死)
★ 집(集)성제
현실 세계의 원인
고통이 모여 일어나는 원인〔집착, 욕심(애욕-愛慾)〕
★ 멸(滅)성제
이상 세계의 결과
고통과 집착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열반, 해탈의 경지)
★ 도(道)성제
이상 세계의 원인
열반의 경지에 도달하는 방법(8正道)
2. 불교 사상의 전개
(1) 소승불교와 대승 불교
★ 소승 불교
사회와 분리된 엄격한 출가 수행과 개인의 해탈을 중시
소극적, 자리적(自利的), 은둔적
★ 대승 불교
․이기심을 버리고 대중과 함께 할 것을 강조
․사상 : 중도(中道), 공(空), 바라밀
․이상적인 인간 : 보살(菩薩)
적극적, 이타적(利他的), 세간적(世間的)
・보살 : 위로는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사람이다.
・공(空) 사상 : 세상이 공허하다는 허무주의가 아니라, 욕망이나 아집(我執)과 같은 자아나 사물에 집착하는 인식의 오류를 지적하고자 출현한 사상이다. 즉 무아(無我)를 철저히 인식하여 이기심을 버리고 대중과 함께 함을 말한다.
・중도 사상 : 현실이 진리와 떨어져 있지 않다는 사상이다.
・바라밀 : “저 언덕으로 간다(到彼岸).”는 뜻으로서, 욕망과 고통으로 얼룩진 이 쪽의 언덕(此岸)으로부터 해탈의 경지를 상징하는 저 쪽 언덕(彼岸)으로 가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와 같은 여섯 가지 바라밀이 있다.
・‘상에 머무르지 않는 보시(無住相布施)’ : 보시란 남에게 내 것을 베풀어준다는 뜻이며, ‘상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것은 ‘내가 내 것을 누구에게 주었다.’는 생각조차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내가 착한 일을 행하였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순간에 나에게는 자만심과 자긍심이 생겨나서 진정한 선행(善行)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3) 중국 불교의 전개
★ 교종(화엄종, 천태종)
교리 공부를 통해 점진적으로 깨달음
★ 선종(혜능)
․돈오(頓悟) : 본래 완성된 부처라는 것을 직관(直觀)해야 함
․부분적인 지식의 축적으로 전체적인 깨달음 불가
<용어해설>
불교의 출현 배경
브라만교의 권위 약화 후 등장한 육사외도(六師外道)는 유물론과 회의론, 운명론과 쾌락주의의 사변적이고 편견적인 성격을 띄었다. 불교는 이를 비판하면서 등장하였다.
연기설(緣起說)
연기란, 인연 생기(因緣生起)의 줄임 말로서, 세계의 모든 존재는 단독적으로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의존하고 관련을 맺어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 속에 있다는 불교의 교리이다.
해탈(解脫)
불교에서 인간의 속세적(俗世的)인 모든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되는 상태.
열반(涅槃)
불교에서 수행에 의해 진리를 체득하여 미혹(迷惑)과 집착(執着)을 끊고 일체의 속박에서 해탈(解脫)한 최고의 경지
팔정도(八正道)
열반 또는 해탈에 이르기 위한 수행 방법이다. 불교의 근본 사상에 대한 이해(正見), 행위에 앞서 올바른 생각(正思), 올바른 언어적 행위(正語)올바른 신체적 행위(正業), 올바른 생활(正命), 올바른 노력(正精進), 올바른 신념(正念), 마음을 고르게 평정하는 것(正定)으로 이루어져 있다.
[10급공무원/10급기능직공무원시험](윤리) 동양윤리